한국과 중국 사이에 국방 및 외교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2+2 외교 안보 대화'라는 고위급 협의체가 만들어진다. 한-중 FTA체결 건에 대해서는 2단계 협상 또한 다시 시작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26일 윤석열 대통령과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가 양자 회담을 통해 다음과 같이 합의 하였습니다.
국가안보실 제1차장 김태효는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한중 양자회담 결과를 발표하며 해당 내용을 언급했습니다.
오늘 열린 회담에서 윤 대통령과 리 총리는 고위급 한중 외교 안보 대화를 새로 만들고, 다음 달 중순에 첫 회으를 개최하기 로 합의하였습니다.
한중 외교 안보 대화는 양국의 외교부와 국방부가 함께 참석하는 '2+2'형식의 협의체입니다. 김 차장은 외교부에서는 차관이, 국방부에서는 국장급 인사가 참석할 예정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자유무역 부분에서는 한중 FTA 2단계 논의를 다시 시작하기로 뜻을 모았으며 기존에는 상품 교역 분양에서의 시장 개방이 ㅈ로 이루어졌지만, 이제부터는 서비스 분야, 특히 문화, 관광, 법률 분야에서도 교류와 개방을 확대하기 위한 논의가 계속될 예정이다"라고 말씀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상무부가 참여하는 '한.중 수출 통제 대화체'를 신설하여 양국간 공급망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공식적인 소통 채널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기존 한.중 공급망 협력 조정 기구와 긴급 연락망을 더 활발히 운영하기로 했다고 김차장은 밝혔습니다.
경제 협력 분야에서는 13년가 중단되었던 한중 투자협력위원회를 다시 시작하며, 해당 위원회는 한국 산업통상자원부와 중국 상무부 사이의 정관급 협의체입니다.
이는 지난 11월 중국 지린성에서 개최되었던 한중경제협력교루회 1차 회의에 이어 올해 하반기에는 2차 회의를 진행하기로 합의하였다고 합니다.
김 차장은 이 외에도 마약, 불법도박, 사기 등 국경을 초월한 범죄에 대해 한국과 중국이 함께 대응하며 협력을 강화 할 것이며, 중단되었던 한중 인문 교류 촉진 위원회 및 양국 청년 교류 사업 등도 다시 시작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마지막으로 회담에서 윤 대통령은 북한의 핵무기 개발과 러시아와의 군사 협력이 계속되는 상황을 언급하며 "중국이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평화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고 태통령실 고위 관계자가 말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