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 도약 계좌 조건 및 신청

by 23nomadlife 2023. 4. 16.

 

1. 청년도약 계좌란? 

청년도약 계좌는 청년들이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매달 70만 원 한도로 5년(60개월)간 자유롭게 납이하면 정부 지원금(최대 월 2만4000원)과 비과세 혜택(15.4)을 받을 수 있는 금융상품으로 2023년 6월에 출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혜택이 큰 만큼 가입 대상이 한정되있습니다. 2023년 청년도약 계좌를 지원하는 예산은 3,678억원으로 편성되어있습니다. 

 

2. 청년도약 계좌 가입 조건?

  • 청년(만19~34)
  •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 개인 소득기준에 따라 차등 혜택 

      => 6,000만원 이하는 정부 기여금 지급,비과세 적용, 총급여 기준

     => 6,000~7,500만원은 정부 기여금 지급없이 비과세만 적용

     => 금리 : 청년도약계좌 상품은 가입후 3년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될 예정

TIP. 

청년희망정금과 중복 가입이 가능함.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별 기여금 지급 구조>

개인소득
(총급여 기준)
본인 납입한도(月) 기여금 지급한도(月) 기여금 매칭비율 기여금 한도(月)
2,400만원↓ 70만원 40만원 6.0% 2.4만원
3,600만원↓ 50만원 4.6% 2.3만원
4,800만원↓ 60만원 3.7% 2.2만원
6,000만원↓ 70만원 3.0% 2.1만원
7,500만원↓ - - -

 

 

 

3. 청년 도약 계좌 신청기간  및 유지 조건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은 2023년 6월 개시하여 '23년 12월까지 매월 강비신청을 받을 예정입니다. 매월 2주동안 기압신청을 받고, 가입신청 후 2-3주 내에 심사완료 통보를 받으면 청년 도약 계좌 신청이 완료됩니다. 

 

단, 가입을 할 때 만기가 5년 상품이기 때문에 가입일로부터 1년 주시기로 개인소득을 확인하여 자격유지가 가능한지 심사를 하게되며, 심사 결과에 따라 정부기여금이 확정되는 시스텝입니다. 

 

가입 후 34세가 넘어도 본인 스스로 중도해지를 안할 시 계좌 유지가 가능합니다. 다만 중간에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해당할 경우에는 정부기여금 및 비과세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청년도약계좡에 대해 설명해드렸습니다. 5년동안 5,000만원을 만들기는 힘들지 몰라도 올해 시작하시겠다고 결심을 하신다면 향후 좋은 결실을 맺으실꺼에요. 일반 적금상품과 달리 비과세혜택을 적용 받을 수 있으며 정부기여금까지 있으니 시작하는 시점에 10만원이라도 가입하시는게 좋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항상 고민만 하시지 마시고 이번에는 가입해보세요. 모든 청년분들을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