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 겨울이 지나고 개구리가 잠에서 깨어나는 경칩이 지나고 이제 따스한 봄날이 찾아오는 계절이며, 야외활동을 하기 좋은 날씨가 되지만 봄만 되면 우리들에게 찾아오는 안 좋은 시기이기도 합니다.
그것은 바로 봄철 미세 먼지와 황사 때문에 화창한 날씨에도 답답함을 많이 느끼는게 문제인 듯합니다. 이렇듯 미세먼지와 황사에 대해 간혹 헷갈리 때가 있어 이번엔 미세먼지와 황사를 구분하고 싶다는 생각이 드네요.
1. 우리가 알고 있는 미세먼지란 ?
- 미세먼지란 :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 상 물질인 먼지 중 다음의 흡입성 먼지를 말합니다. 즉, 미세 먼지 입자의 지름이 10 마이크로미터이하인 먼지(PM-10)를 말하며, 초미세먼지는 입자의 지름이 2.5 마이크로미터가 하인 먼지 (PM-2.5)로 나눠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처럼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매우 작기 때문에 대기 중에 머물러 있다 호흡기를 거쳐 폐 등에 침투하거나 혈관을 따라 체내로 이동하여 들어감으로써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 미세먼지의 성분은 그 미세먼지가 발생한 지역이나 계절, 기상조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대기오염물질이 공기 중에서 반응하여 형성된 덩어리(황산염, 질산염등)와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를 태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류와 검댕, 지표면 흙먼지 등에서 생기는 광물 등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2. 우리가 알고 있는 황사란?
황사는 중국이나 몽골 등 아시아 대륙의 중심부에 있는 사막과 황토 지대의 작은 모래, 황토, 먼지가 하늘에 떠다니다가 편서풍을 타고 멀리까지 날아가 떨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황사의 주성분인 황토 혹은 모래의 크기는 0.2~20 마이크로미터로 우리나라까지 날아오는 것은 1~10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크기입니다. 황사는 과거에도 존재했던 현상인 요즘 더 황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유는 황사의 근원지인 중국이 급속한 산업화를 거치면서 황사 속에 포함되어 있는 규소, 납, 카드뮴, 니켈, 크롬 등의 중금속 농도가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3. 미세먼지와 황사로 인해 우리 몸에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은?
- 호흡기계 질환 : 기관지염, 천식
- 심혈관계 질환 : 급성뇌졸중
- 안과 질환 :알레르기 결막염, 안구 건조증
- 피부과 질환 : 가려움, 따가움, 발진, 발열, 부종 및 아토피 피부질환
이렇듯 다양한 질환으로 우리에게 안 좋은 미세먼지와 황사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지만 각자 개인이 할 수 있는 것은 외출 시 손, 발을 깨끗이 씻는 것이며, 대기 중 오염이 높은 날에는 마스크 착용이 필수이며, 생활에서 탄소 배출을 줄이며 일회용품을 줄이는 일을 생활하 하는 것을 실천하는 것입니다.